
DI(Dependency Injection)란? 스프링에서 의존성 주입(DI)이란, 객체간 의존성을 개발자가 객체 내부에서 직접 호출(new연산자)하는 대신, 외부(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객체를 생성해서 넣어주는 방식이다. 외부에서 두 객체 간의 관계설정을 해주는 디자인 패턴으로, 인터페이스를 사이에 두어 클래스 레벨에서는 의존관계가 고정되지 않도록 하고, 런타임 시 관계를 동적으로 주입하여 유연성을 확보하고 결합도를 낮출 수 있게 한다. DI 방법 3가지 생성자 주입 setter 주입 필드 주입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 생성자 주입은 아래와 같이 Constructor에 @Autowired Annotation을 붙여 의존성을 주입받을 수 있다. @Component public ..
Tech Interview/기술 면접 준비
2023. 9. 9. 16:1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알고리즘공부
- 코테준비
- 코테 준비
- 취업준비
- 기술 면접 준비
- 개발자 취업 준비
- 주니어 개발자 취업 준비
- 자바공부
- 개발자 면접 준비
- 알고리즘 공부
- java
- 프로그래머스 자바
- 제로베이스 백엔드 스쿨
- 코딩테스트 준비
- 코테공부
- 백엔드 개발자
- 백엔드 개발자 기술 면접 준비
- 제로베이스 백준 장학금
- 프로그래머스 카카오
- 취준
- 코딩테스트
- 취업 준비
- 알고리즘
- 코딩테스트공부
- 백엔드 개발자 취업 준비
- 프로그래머스
- 백준
- 자바
- 개발자 취준
- 코딩테스트 공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