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베이스를 설계를 하면서 PK, UK, FK 를 많이 들어 봤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주 쓰이는 키의 종류이다. 이것에 대해 정확하게 한번 개념 정리하고 가면 좋을 것 같아서 정리 하고자 한다. PK(Primary Key) 주 식별자키로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식별하는 컬럼이다. - 중복이나, NULL 불가 - 테이블 생성시 단 한개의 PK설정 - 고유 인덱스 자동 생성이 가능 FK(Foreign Key) 외부 식별자키(= 참조키)로 테이블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두 테이블 간의 종속이 필요한 관계이면, 그 접점이 되는 컬럼을 FK로 지정하여 서로 참조 할 수 있도록 관계를 맺어준다. 테이블 간의 잘못된 매핑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 FK 선언한 테이블이 하위 테이블 - 참조하는 테이블은 부..

정규화(Normalization)란? 데이터베이스 정규화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모델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일관성,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데이터를 분해하는 과정을 뜻한다. 정규화를 하는 목적은 데이터들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있다. 정규화의 장점 데이터베이스 변경 시 이상 현상(Anomaly)을 제거할 수 있다. 정규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는 새로운 데이터 형의 추가로 인한 확장 시, 그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거나 일부만 변경해도 된다.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응용 프로그램에 최소한의 영향만을 미치게 되어 응용프로그램의 생명을 연장시킨다. 정규화의 단점 릴레이션의 분해로 인해 릴레이션 간의 JOIN연산이 많아진다. 질의에 대한 응답 시간이 느려질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가장 많이 접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C, Java, Python 의 각 특징을 알아 보려고 한다. 해당 내용은 실제 기술 면접시 받았던 질문이며, 부족함을 느껴서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 직무를 하면서 각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을 알고 사용하면 좋을 것 같아서 간략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C언어의 특징 1. C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다양한 하드웨어로의 이식성이 좋다. 2. C언어는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가 복잡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유지보수가 쉽다. 3. C언어는 저급 언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셈블리어 수준으로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다. 4. C언어는 코드가 간결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의 크기가 작고 실행 속도가 빠르다. Java 란? 자바는 C언어에 객체 지향..

쿠키, 세션, 캐시 개념을 알기 전에 우선 HTTP 의 특징을 간략하게 먼저 보자. HTTP 의 특징 1 . Stateless ( 무상태성 )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 해도, 다음에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 2 . Connectionless ( 비연결성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했을 때,그 요청에 맞는 응답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방식 +) HTTP 1.1 버전에서 연결을 유지하고, 재활용 하는 기능이 Default 로 추가되었다. (keep-alive 값으로 변경 가능 ) 상태 유지 (Stateful)의 필요성 HTTP 요청은 Stateless하기 때문에 정보가 유지 되지 않는다. 우리가 페이지를 이동하더라도 ..

동일성 (Identity) 동일성은 비교 대상의 두 객체의 메모리 주소가 같음을 의미하는 것 이다. 자바에서 동일성은 비교연산자 == 로 확인할 수 있다. Number number1 = new Number(1); Number number2 = number1; System.out.println(number1 == number2); number2 는 Number 의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지 않고, number1 을 대입받는다. 즉 number1 와 number2 는 같은 메모리 주소에 위치한 같은 객체를 바라보고 있다. 객체는 각자의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 식별자가 같다면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동등성 (Equality) 동등성은 동등하다는 뜻으로 두 개의 객체가 같은 정보를 갖고 있는 경우를 의..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바
- 취업 준비
- 취준
- 주니어 개발자 취업 준비
- 코테 준비
- 코테준비
- 코테공부
- 코딩테스트 준비
- 프로그래머스 자바
- 기술 면접 준비
- 개발자 면접 준비
- 코딩테스트 공부
- 제로베이스 백준 장학금
- 제로베이스 백엔드 스쿨
- 코딩테스트
- 코딩테스트공부
- 프로그래머스
- 취업준비
- 자바공부
- 알고리즘 공부
- 프로그래머스 카카오
- 알고리즘
- 알고리즘공부
- 개발자 취준
- 백준
- 백엔드 개발자
- 백엔드 개발자 취업 준비
- java
- 개발자 취업 준비
- 백엔드 개발자 기술 면접 준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