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기 (Synchronous) vs 비동기(Asynchronous)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를 간략하게 보면 직렬식, 병렬식 구조라고 볼 수 있다. 즉 동기가 직렬식이며 비동기가 병렬식으로 작동한다. 왼쪽이 동기식 방식이며 하나의 태스크가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음 태스크가 실행된다. 총 실행 시간으로 따지자면 '동기' 방식이 더 느리다. 오른쪽이 비동기식 방식이다. 한번에 여러 태스크가 동시에 병렬적으로 실행된다. 동기 (Synchronous) 요청과 결과가 한 자리에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서버로 요청을 보냈을 경우 요청에 대한 응답을 리턴받기 전까지는 다른 것을 하지 못하고 기다려야 한다. 특정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데 시간이 5분 소요된다고 하면, 이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5분동안 컴퓨터는 ..

DI(Dependency Injection)란? 스프링에서 의존성 주입(DI)이란, 객체간 의존성을 개발자가 객체 내부에서 직접 호출(new연산자)하는 대신, 외부(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객체를 생성해서 넣어주는 방식이다. 외부에서 두 객체 간의 관계설정을 해주는 디자인 패턴으로, 인터페이스를 사이에 두어 클래스 레벨에서는 의존관계가 고정되지 않도록 하고, 런타임 시 관계를 동적으로 주입하여 유연성을 확보하고 결합도를 낮출 수 있게 한다. DI 방법 3가지 생성자 주입 setter 주입 필드 주입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 생성자 주입은 아래와 같이 Constructor에 @Autowired Annotation을 붙여 의존성을 주입받을 수 있다. @Component public ..

데이터베이스를 설계를 하면서 PK, UK, FK 를 많이 들어 봤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주 쓰이는 키의 종류이다. 이것에 대해 정확하게 한번 개념 정리하고 가면 좋을 것 같아서 정리 하고자 한다. PK(Primary Key) 주 식별자키로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식별하는 컬럼이다. - 중복이나, NULL 불가 - 테이블 생성시 단 한개의 PK설정 - 고유 인덱스 자동 생성이 가능 FK(Foreign Key) 외부 식별자키(= 참조키)로 테이블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두 테이블 간의 종속이 필요한 관계이면, 그 접점이 되는 컬럼을 FK로 지정하여 서로 참조 할 수 있도록 관계를 맺어준다. 테이블 간의 잘못된 매핑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 FK 선언한 테이블이 하위 테이블 - 참조하는 테이블은 부..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그래머스 자바
- 백준
- 알고리즘
- 백엔드 개발자 취업 준비
- 코테 준비
- 코딩테스트 준비
- 코테준비
- 백엔드 개발자 기술 면접 준비
- java
- 제로베이스 백엔드 스쿨
- 자바공부
- 개발자 취업 준비
- 주니어 개발자 취업 준비
- 취업 준비
- 코딩테스트
- 코딩테스트공부
- 기술 면접 준비
- 취준
- 백엔드 개발자
- 알고리즘공부
- 알고리즘 공부
- 취업준비
- 코테공부
- 코딩테스트 공부
- 개발자 취준
- 제로베이스 백준 장학금
- 자바
- 프로그래머스
- 개발자 면접 준비
- 프로그래머스 카카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